핵심
내 성향이나 능력이 개발 이외의 부분에 강점이 있다면 해당 강점을 찾아 잘 살리기.
나는 어떤 사람인가에 대해 고민하기.
- (뜨는) 기술 전문성 집착, 조바심 버리기.
- 유행 쫓기X, 나를 중심으로 생각하기.
- 시류에 타는 게 아니라 결과를 내자.
- 결과를 위해 필요한 것들은?
- 의사소통 능력
- 이게 떨어지면 성공과 실패를 내가 정의하려 하는 경향이 생긴다.
- 같이 일하는 사람들과 함께 정의할 것.
- 문제 정의를 객관적으로.
- 의사소통 능력
- 결과를 위해 필요한 것들은?
- 현재에 충실하고 일을 잘하려고 노력하기. 즉 현재에 집중하기.
인생 전반기에는 내가 하고 싶은 거 다 해보고, 작은 실패를 실패라 생각하지 말고 여유있게 가기.
- 한 번 실패한다고 인생 끝나는 것 아니다.
커리어 패스를 크게 구분하면 아래와 같다
- 개발 - 개발 전문가
- 업무 - 업무 이해도를 바탕으로 서비스 운영 > 관리
- 관리 - 일과 사람을 관리하는 PM > IT 사업관리
- 기획 - 아이디어를 내고 서비스 기획 > 사업 기획
- 영업 - 기술 영업 > 회사 관리
공통적으로 커리어 초기에 필요한 엔지니어링 역량
- 개발에 대한 기본 지식
- 제품에 대한 이해
- 개발 주기 지식
중간 관리자에게 필요한 역량
- 프로젝트 관리
- 팀 관리
- 프로세스 관리
- 혼자서 세가지를 다 할 필요는 없으나 각 역할에 대한 명확한 이해 필요.
- 개인 기여자로 남을지(100세코딩!) 관리자가 될지는 본인의 선택.
- 직원에게도 필요한 역량. '상사가 일을 어떻게 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있어야 요구-유도할 수 있다.
- 관리자가 무슨 일을 하는지는 알아야 본인이 관리자로서 재능이 있는지 알 수 있고, 커리어도 결정할 수도 있다.
기억할 것
- 지금 내 주변 사람들은 10년 후에 회사의 중책을 맡을 것.
- 따라서 해당 관계를 잘 유지하면 10년 후 다양한 부분에 있어서 좋은 기회를 만들어 낼 수 있다.
- 개발을 잘 하는 사람과 개발이 아닌 다른 부분에 역량이 있는 사람으로 나뉠 뿐이다.
- 따라서 개발 업무가 적성에 안 맞더라도 위축되지 말 것! IT는 충분히 많은 직군과 직무가 있다.
좋은 인재란?
- 좌충우돌하는 환경에서도 이겨낼 수 있는 자질이 있는 사람.
- 조금 해 보고 못 한다고 포기하지 않기.
[IT진로] IT 개발자 커리어 패스에 대해서
블로그의 TEXT 기반의 정보 전달이 한계가 있어, 좀 더 원할한 소통을 위해서 블로그와 함께 유튜브 채...
blog.naver.com
개발자 커리어 단계별 역량 차이
페이스북에서 테크 리더로 일하고 있는 Bobi님이 자신이 그동안 봐온 개발자의 모습을 정리한 Medium 글의 일부를 번역한 글입니다.
velog.io
“좋은 커리어, 자신감에서 나온다”
한기용 그렙 미국 CTO 인터뷰 실리콘밸리 27년차 개발자 스타트업 위한 멘토로 활약 “시류에 휩쓸리지 말아라” “삶은 나를 찾아가는 여정” 실리콘밸리 한인 커뮤니티에는 전설적인 인물이
n.news.naver.com
구글 시니어 개발자가 성장을 위해 선택한 길 | 요즘IT
첫 회사였던, 샌프란시스코 소재 B2B 스타트업에서 첫 인사평가를 받던 1년차 때 ‘인디비주얼 컨트리뷰터(Individual Contributor, 이하 IC)’라는 말을 처음 들었다. 매니저는 지난 1년 동안 인디비주
yozm.wishket.com
리더로 성장하고 싶은 개발자를 위한 3가지 기술 | 요즘IT
매니지먼트는 프로젝트 관리, 팀 관리, 프로세스 관리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프로젝트 관리는 출시 시기와 중점을 둬야 하는 일을 관리하는 기술입니다. 두 번째는 팀 관리, 즉 사람 관
yozm.wishket.com
개발자 생활 첫 10년, 이 세 가지가 중요합니다 | 요즘IT
앞으로 30년 혹은 그 이상을 개발자로 살고 싶은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제 경험을 3회차의 연재 글로 풀어볼 겁니다. 1) 성장하는 10년, 2) 리딩하면서 일하는 10년, 3)
yozm.wishket.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