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nction
function sayHello() {
console("Hey enerG! Cheer Up!");
// 이 안에 있는 요소를 반복해서 실행할 수 있다.
}
sayHello();
function에 data 보내기
function sayCheerUp(cheerName) {
console.log("Hey " + cheerName + "! Cheer Up!");
}
sayCheerUp("enerG"); // Hey enerG! Cheer Up!
console.log(cheerName); // Undefined
Place holder
function plus(a, b) {
console.log(a + b);
}
plus(8, 10); // 18 (a=8, b=10)
function divide(firstNumber, secondNumber) {
console.log(firstNumber / secondNumber);
}
divide(100, 20); // 5
- a와 b, firstNumber와 secondNumber는 단순한 place holder다.
Object 안에서 function 사용하기
const player = {
name: "nico",
sayHello: function (otherName) { // 이 부분이
console.log("Hello~ " + otherName + "! Nice to meet you!");
},
};
player.sayHello("enerG"); // Hello~ enerG! Nice to meet you!
Return
const age = 90; // 1
function calculateKrAge(ageOfForeigner) { // 3
return ageOfForeigner + 2; // 4
}
const KrAge = calculateKrAge(age); // 2 // 5 // 6
console.log(KrAge); // 7
- age 의 90이라는 값을 아래의 calculateKrAge(age)에서 가져간다.
- calculateKrAge(90)이 된다.
- 90이라는 값을 ageOfForeigner에 보내준다.
- 함수 내부 ageOfForeigner에서 90을 받아 90 + 2를 실행한다. = 92
- 이것을 반환 return 해서 밖에 있는 calculateKrAge의 값이 92가 된다.
- const KrAge = 92가 된다.
- 콘솔로그로 도출한 결과 역시 92가 된다.
- 이렇게 KrAge라는 variable이 function의 return value를 가지게 된다.
Return하는 순간 function은 작동을 멈춘다
const calculator = {
add: function (a, b) {
console.log("hello!"); // 작동한다
return a + b; // return한다
console.log("bye bye"); // 작동하지 않는다
},
};
return의 효용 : 상호의존성
const calculator = {
add: function (a, b) {
return a + b;
},
minus: function (a, b) {
return a - b;
},
times: function (a, b) {
return a * b;
},
divide: function (a, b) {
return a / b;
},
power: function (a, b) {
return a ** b;
},
};
const plusResult = calculator.add(10, 2); //12
const minusResult = calculator.minus(plusResult, 5); //7
const timesResult = calculator.times(10, minusResult); //70
const divideResult = calculator.divide(timesResult, minusResult); //10
const powerResult = calculator.power(divideResult, minusResult); //10000000
ETC
prompt
: 팝업 창을 띄운다. 따라서 요즘에는 잘 쓰이지 않는 방식이다.parseInt
: string을 number로 바꿔준다.typeof variable
: variable의 datatype을 확인한다.